국내 가상자산 투자, 남성 강세 뚜렷… 30~40대가 주력층
20대 남성 소액 투자 활발, 50대 여성 거액 투자 주목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남성 투자자의 비중이 여성의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40대 남성이 전체 투자자의 40%에 육박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20대 이하 남성의 소액 투자와 50대 여성의 거액 투자가 눈길을 끌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의원이 5대 가상자산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 18일 기준 성별 및 연령별로 확인 가능한 투자자는 총 1,516만 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사람이 여러 거래소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포함된 수치다.
남성 투자자는 1,013만 명으로, 여성(503만 명)의 두 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451만 명)와 40대(397만 명)가 가장 많았으며, 20대 이하(292만 명), 50대(264만 명), 60대 이상(112만 명) 순이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30대 남성(310만 명)과 40대 남성(267만 명)이 전체 투자자의 38.1%를 차지했다. 이어 20대 남성(216만 명), 50대 남성(159만 명), 30대 여성(142만 명), 40대 여성(130만 명) 등이 뒤를 이었다.
보유 자산 규모에서도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뚜렷했다. 100만 원 미만의 소액 투자자는 전체의 83.1%에 해당하는 1,260만 명에 달했다.
100만~1,000만 원의 가상자산 보유자는 157만 명, 1,000만~1억 원 보유자는 83만 명, 1억 원 이상 보유한 투자자는 16만 명이었다.
1억 원 이상 투자한 투자자 중 40대 남성이 3만6,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남성도 3만5,000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여성 투자자 중에서는 50대 여성(2만 명 이상)이 40대 여성(1만4,000명)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업계 관계자들은 서울 일부 지역에서 50대 여성이 자녀 증여나 상속을 고려해 스테이블 코인 등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100만원 미만 소액 투자자의 경우 20대 이하 남성(200만 명)이 여성(68만 명)의 약 3배에 달해서,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남성들의 적극적인 투자 성향이 두드러졌다.
한 거래소 관계자는 "입대를 전후해 코인 투자를 시작하는 경우도 많다"며 "젊은 남성 투자자들이 시장 변동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투자 성향이 뚜렷함을 보여준다. 특히 30~40대 남성이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50대 여성의 거액 투자와 20대 이하 남성의 소액 투자가 눈에 띈다.
가상자산 투자는 높은 변동성을 동반하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무리한 레버리지는 지양하고, 분산 투자 전략을 활용해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계획을 세우고, 신뢰할 수 있는 거래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자 전 충분한 정보 수집과 학습을 통해 안정적인 자산 운용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상자산 #코인투자 #비트코인 #투자전략 #암호화폐 #남성투자자 #여성투자자 #금융투자 #블록체인 #투자주의
💼 관련 문서
코인 시장, '존버'는 답이 아니다 – 변동성 속 살아남는 법
https://blog.naver.com/autoarc/223789454587
비트코인 투자, 지금 들어갈까요? 냉철한 투자자의 생존 전략
https://blog.naver.com/autoarc/223692105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