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군·2군·3군 건설사 차이
도급순위 아닌 조달청 등급 기준으로 구분한다
건설업계에서 흔히 말하는 “1군 건설사”.
네이버 검색창에 입력해 보면,
👉 “도급순위 10위까지다”
👉 “20위까지다”
이런 글들이 상단에 노출됩니다.
하지만 이는 명백히 잘못된 정보입니다.
실제 기준은 **조달청 ‘등급별 유자격자명부제’**입니다.
📌 1군 건설사, 정확한 정의
조달청은 매년 **시공능력평가액(시평액)**을 기준으로 종합건설업체를 7개 등급으로 나눕니다.
즉, “1군”이라는 표현은 업계 속어일 뿐이고, 정확한 제도적 명칭은 **“1등급 건설사”**입니다.
📊 종합건설사 등급별 기준 (조달청, 2024년 기준)
- 1등급(1군) : 4,200억 원 이상
- 2등급(2군) : 1,400억 원 이상 ~ 4,200억 원 미만
- 3등급(3군) : 700억 원 이상 ~ 1,400억 원 미만
- 4등급(4군) : 350억 원 이상 ~ 700억 원 미만
- 5등급(5군) : 200억 원 이상 ~ 350억 원 미만
- 6등급(6군) : 120억 원 이상 ~ 200억 원 미만
- 7등급(7군) : 83억 원 이상 ~ 120억 원 미만
➡️ 따라서 “1군 건설사”란 시평액 4,200억 이상 업체를 말합니다.
“도급순위 10위, 20위” 같은 기준은 ❌ 오해입니다.
⚖️ 왜 건설사 등급을 나눌까?
만약 등급 구분이 없다면, 대부분의 공사는 대형사가 독식하게 됩니다.
이를 막기 위해 조달청은 등급별 유자격자명부제를 운영합니다.
👉 입찰 참가 자격을 등급별로 제한
👉 같은 체급끼리 경쟁하도록 설계
비유하자면 태권도·유도의 체급제와 같습니다.
체급이 없으면 헤비급만 살아남듯, 건설도 대형사만 살아남게 되겠죠.
✅ 정리: 1군 건설사 올바르게 이해하기
- “도급순위 10위권 = 1군”? ❌
- “시평액 4,200억 이상 = 1군(1등급)” ✔
즉, 1군·2군·3군은 업계 속어지만, 실제 제도는 조달청의 1~7등급 체계입니다.
건설사 등급을 이해하면,
👉 기업 분석
👉 취업 전략 수립
👉 공사 입찰 구조 파악
에 큰 도움이 됩니다.
📚 관련 글
- 건설회사 1군과 2군 구분 방법
- 2025년 시공능력평가 공시: 삼성물산 1위·현대건설 2위
- 2025 시공능력평가 순위 TOP 100 분석
- 국토부 건설업 시공능력평가 제도 설명 2025버전
📢 건설워커 — 채용+홍보 원샷 플랫폼
IMF 시절인 1997년, 건설사 출신들이 만든 건설워커는
지금은 채용과 홍보를 아우르는 건설업 전문 플랫폼으로 성장했습니다.
- 공고 1건 등록 → 네이버·고용24·건설협회·건설기술인협회·국토부 건설워크넷·대한경제·SNS 자동 확산
- 블로그 3대 채널(잡톡·공식·득보잡) 하루 수천 명 방문
✅ 채용성과 + 기업 브랜딩 동시 달성
👉 업계를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이 만든 채용 플랫폼 — 건설워커
🔖 #건설워커 #1군건설사 #시공능력평가액 #도급순위 #건설사등급 #조달청 #등급별유자격자명부제 #건설취업
👉 네이버 검색창에 '건설워커'
📌 건설 전문가가 직접 운영하는 채용 플랫폼, 건설워커 — 채용은 기본, 업계 트렌드와 기업 분석까지 깊이 전합니다.
📛 Copyright ⓒ 건설워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건설워커 > 데이터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군(등급) 종합건설사 리스트 (3) | 2025.08.17 |
---|---|
2025 인천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 도급순위 (6) | 2025.08.15 |
📊 2025 제주 종합건설사 도급순위 & 시평액 리포트 (8) | 2025.08.15 |
건설업 고용, 15개월째 감소…취업자 9만 2천 명 줄었다 (6) | 2025.08.13 |
2025 충남 종합건설사 시평액 & 도급순위 총정리 (9) | 2025.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