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워커/데이터랩

1군·2군·3군 건설사 차이, 구분방법

by 건설워커 2025. 8. 17.
반응형

 

🏗 1군·2군·3군 건설사 차이

도급순위 아닌 조달청 등급 기준으로 구분한다

건설업계에서 흔히 말하는 “1군 건설사”.
네이버 검색창에 입력해 보면,
👉 “도급순위 10위까지다”
👉 “20위까지다”
이런 글들이 상단에 노출됩니다.

 

하지만 이는 명백히 잘못된 정보입니다.


실제 기준은 **조달청 ‘등급별 유자격자명부제’**입니다.


📌 1군 건설사, 정확한 정의

조달청은 매년 **시공능력평가액(시평액)**을 기준으로 종합건설업체를 7개 등급으로 나눕니다.

 

즉, “1군”이라는 표현은 업계 속어일 뿐이고, 정확한 제도적 명칭은 **“1등급 건설사”**입니다.


📊 종합건설사 등급별 기준 (조달청, 2024년 기준)

  • 1등급(1군) : 4,200억 원 이상
  • 2등급(2군) : 1,400억 원 이상 ~ 4,200억 원 미만
  • 3등급(3군) : 700억 원 이상 ~ 1,400억 원 미만
  • 4등급(4군) : 350억 원 이상 ~ 700억 원 미만
  • 5등급(5군) : 200억 원 이상 ~ 350억 원 미만
  • 6등급(6군) : 120억 원 이상 ~ 200억 원 미만
  • 7등급(7군) : 83억 원 이상 ~ 120억 원 미만

➡️ 따라서 “1군 건설사”란 시평액 4,200억 이상 업체를 말합니다.
“도급순위 10위, 20위” 같은 기준은 ❌ 오해입니다.


⚖️ 왜 건설사 등급을 나눌까?

만약 등급 구분이 없다면, 대부분의 공사는 대형사가 독식하게 됩니다.

 

이를 막기 위해 조달청은 등급별 유자격자명부제를 운영합니다.

👉 입찰 참가 자격을 등급별로 제한
👉 같은 체급끼리 경쟁하도록 설계

 

비유하자면 태권도·유도의 체급제와 같습니다. 

 

체급이 없으면 헤비급만 살아남듯, 건설도 대형사만 살아남게 되겠죠.


✅ 정리: 1군 건설사 올바르게 이해하기

  • “도급순위 10위권 = 1군”? ❌
  • “시평액 4,200억 이상 = 1군(1등급)” ✔

즉, 1군·2군·3군은 업계 속어지만, 실제 제도는 조달청의 1~7등급 체계입니다.

 

건설사 등급을 이해하면,
👉 기업 분석
👉 취업 전략 수립
👉 공사 입찰 구조 파악
에 큰 도움이 됩니다.


📚 관련 글


📢 건설워커 — 채용+홍보 원샷 플랫폼

IMF 시절인 1997년, 건설사 출신들이 만든 건설워커
지금은 채용과 홍보를 아우르는 건설업 전문 플랫폼으로 성장했습니다.

  • 공고 1건 등록 → 네이버·고용24·건설협회·건설기술인협회·국토부 건설워크넷·대한경제·SNS 자동 확산
  • 블로그 3대 채널(잡톡·공식·득보잡) 하루 수천 명 방문

채용성과 + 기업 브랜딩 동시 달성
👉 업계를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이 만든 채용 플랫폼 — 건설워커


🔖 #건설워커 #1군건설사 #시공능력평가액 #도급순위 #건설사등급 #조달청 #등급별유자격자명부제 #건설취업

기업이 채용공고를 올리면 네이버·고용24(고용노동부)·건설협회·건설기술인협회·국토부 건설워크넷·대한경제·이엔지잡 등 주요 채널과 블로그·카페·SNS로 동시에 확산됩니다. (※ 제휴 채널은 서비스차원이며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건설워커에 없다면 대한민국 건설회사가 아닙니다.

 

👉 네이버 검색창에 '건설워커'​​

건설워커 네이버 연관채널

📌 건설 전문가가 직접 운영하는 채용 플랫폼, 건설워커 — 채용은 기본, 업계 트렌드와 기업 분석까지 깊이 전합니다.

📛 Copyright ⓒ 건설워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컴테크컨설팅(건설워커) | 대표 유종현 | 서울 강북구 한천로140길 5-6 | 사업자 등록번호 : 210-81-25058 | TEL : 02-990-4697 | Mail : helper@worker.co.kr | 통신판매신고번호 : 강북-제 1911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