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설워커/데이터랩89

🏗️ 컨스라인┃2025년 건설사 순위 자료 총정리 🏗️ 컨스라인┃2025년 건설사 순위 자료 총정리취업 준비생이라면 꼭 봐야 할 건설업계 랭킹안녕하세요, 건설워커 컨스라인입니다.건설업에 도전하는 구직자에게 기업 순위 자료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어떤 회사가 업계를 주도하고 있는지, 각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기업은 어디인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합건설, 전문건설, 건축사사무소 등 세부 분야별 순위를 한눈에 모았습니다.또한 CM(건설사업관리) 능력평가, ENR 세계 건설사 순위, 건설워커 인기 기업 순위까지 담아, 취업 전략을 세우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분야별 순위 링크 모음아래 링크를 통해 상세 자료를 확인해보세요. 🏆 종합건설 2025 시공능력평가 TOP 100👉 https://blog.n.. 2025. 9. 18.
건설워커 10월 랭킹 사전집계(잠정치): 삼성물산·현대건설 1·2위 굳건, 3위는? 🏗️ 건설워커 10월 랭킹 사전집계(잠정치)삼성물산·현대건설 1·2위 굳건, 3위 대우건설은 인기순위 10위 턱걸이 예상📑 출처 : 건설워커 데이터랩 (2025.9.17)📊 건설워커 10월 랭킹 TOP 10 (중간집계)(괄호 안은 2025년 토건 시공능력평가액 순위)1위 삼성물산 (1위)2위 현대건설 (2위)3위 GS건설 (5위)4위 DL이앤씨 (4위)5위 현대엔지니어링 (6위)6위 롯데건설 (8위)7위 HDC현대산업개발 (10위)8위 포스코이앤씨 (7위)9위 한화 건설부문 (11위)10위 대우건설 (3위)🔎 데이터랩 분석📦 도급순위 빅3 건설사 동향삼성물산 : 2017년 11월 이후 무려 95개월 연속 1위 → 7년 11개월째 선두 유지(2025년 9월 기준)현대건설 : 꾸준히 2위 수성대우건.. 2025. 9. 17.
[2025] 종합건설사 토건 시공능력평가액 1위~500위 🏗️ [2025] 종합건설사 토건 시공능력평가액 1위~500위📊 국토부 2025년 발표자료 기반, 최신 건설사 도급순위 한눈에 보기✨ 시작하며반갑습니다. 건설워커 컨스라인(ConsLine) 운영자 라인C 입니다. 👷‍♂️ 매년 7월 말이면 건설업계가 주목하는 자료가 나오죠.바로 국토교통부 발표 ‘종합건설사 토목·건축 시공능력평가액’ 순위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도 기준, 1위부터 500위까지의 도급순위 리스트(텍스트 버전)를 정리했습니다.도표 형식으로 깔끔하게 보고 싶으신 분들은 하단에 링크된 문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5 토건 시평액 기준 도급순위 1위~500위 왼쪽부터 순위, 상호, 대표자, 소재지, "토건 시공능력평가액(백만원)" 순입니다. ​1 삼성물산 주식회사 오세철 .. 2025. 9. 15.
하반기 건설업 채용 ‘빙하기’…대기업 10곳 중 6곳 “채용 없다” 🏗️ 하반기 건설업 채용 ‘빙하기’…대기업 10곳 중 6곳 “채용 없다”– 건설·토목 업종 83.3% 채용 계획 미정·없음, 청년층 취업난 심화 – 📉 2025년 하반기, 대기업 채용 시장이 얼어붙었습니다.특히 건설업계는 10곳 중 8곳 이상이 하반기 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이라고 응답하면서, 장기 불황 속 건설취업의 어려움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대기업 하반기 채용 동향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국내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62.8%가 채용 계획 없음 또는 미정이라고 밝혔습니다.채용 계획 없음: 24.8% (전년 대비 +7.3%p)채용 계획 미정: 38.0% (전년 대비 –2.0%p)또한 채용을 줄이겠다는 기업은 **37.8%**로, 지난해(17.6%) 대비 20%포인트.. 2025. 9. 11.
8월 건설업 취업자 16개월 연속 감소세…장기 불황 속 취업전략은? 8월 건설업 취업자 16개월 연속 감소세…장기 불황 속 취업전략은?– 건설워커 유종현 대표 “대기업 공채만 바라보지 말고 직무 경험 확보가 열쇠” – 📊 건설업 취업시장이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습니다.2025년 8월 기준 건설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3만2000명(-6.5%) 감소하며 16개월 연속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건설업 취업자, 왜 계속 줄고 있나?원인: 국내 경기 둔화 + 주택·토목 수주 부진현황: 건설업(-13.2만 명), 제조업(-6.1만 명), 농림어업(-13.8만 명) 모두 감소특징: 건설업은 무려 16개월 연속 감소, 제조업은 14개월 연속 감소즉, 전체 고용률은 사상 최고치지만 건설·제조업만큼은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연령·근로형태별 .. 2025. 9. 11.
2025년 3등급 종합건설사 총정리|토건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 2025년 3등급 종합건설사 총정리|토건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 172위 이에스아이(주) 부터 339위 덕흥건설(주) 까지 총 168개 건설사 ## 🔎 3등급 종합건설사란? 조달청의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등록 및 운용기준」(등급별 유자격자명부제)에 따라, 시공능력평가액 700억 원 이상 ~ 1,400억 원 미만의 기업이 3등급 종합건설사로 분류됩니다. 📊 2025년 3등급 종합건설사 현황 국토교통부가 2025년 7월 31일 발표한 토목건축공사업(토건) 시공능력평가에 따르면, 총 168개 건설사가 3등급 조건을 충족했습니다. * 범위: 172위 이에스아이㈜ ~ 339위 덕흥건설㈜ * 총 개수: 168개사 * 구간: 토건 시평액 700억 원 이상 ~ 1,400억 원 미만 🏗️ 2025년 3등급.. 2025. 9. 8.
2025년 4등급 종합건설사 총정리|토건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4군 🏗️ 2025년 4등급 종합건설사 총정리|토건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4군 📜 도급순위 340위 케이디종합건설 부터 645위 광해종합건설 까지 총 305개 건설사 ## 🔎 4등급(4군) 종합건설사란? 조달청은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등록 및 운용기준」(등급별 유자격자명부제)에 따라, 시공능력평가액 350억 원 이상 ~ 700억 원 미만의 기업을 4등급 종합건설사로 분류합니다. 📊 2025년 4등급 종합건설사 현황 국토교통부가 2025년 7월 31일 발표한 토목건축공사업(토건) 시공능력평가에 따르면, 총 305개 건설사가 4등급에 해당합니다. * 범위: 340위 케이디종합건설㈜ ~ 645위 광해종합건설㈜ * 총 개수: 305개사 * 구간: 토건 시평액 350억 원 이상 ~ 700억 원 미만 🏗️ 20.. 2025. 9. 8.
2025년 5등급(5군) 종합건설사 총정리 | 토건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4군 🏗️ 2025년 5등급(5군) 종합건설사 총정리 | 토건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4군 📜 646위 세영건설㈜ ~ 1169위 환희종합건설㈜까지 총 524개 업체 🔎 5등급(5군) 종합건설사란? 조달청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등록 및 운용기준」(등급별 유자격자명부제)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액 200억 원 이상 ~ 350억 원 미만의 기업을 5등급 종합건설사로 분류합니다. 📊 2025년 5등급 종합건설사 현황 국토교통부가 2025년 7월 31일 발표한 토목건축공사업(토건) 시공능력평가에 따르면, 총 524개 건설사가 5등급에 해당합니다. * 범위: 646위 세영건설㈜ ~ 1169위 환희종합건설㈜ * 총 개수: 524개사 * 구간: 토건 시평액 200억 원 이상 ~ 350억 원 미만 🏗️ 2025년 5등급(.. 2025. 9. 8.
6등급(6군) 종합건설사 총정리 | 2025년 토건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 6등급(6군) 종합건설사 총정리 | 2025년 토건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 1170위 신일건설㈜ ~ 1910위 대륙건설㈜까지 총 741개 업체 🔎 6등급(6군) 종합건설사란? 조달청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등록 및 운용기준」(등급별 유자격자명부제)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액 120억 원 이상 ~ 200억 원 미만의 기업을 6등급 종합건설사로 분류합니다. 📊 2025년 6등급 종합건설사 현황 국토교통부가 2025년 7월 31일 발표한 토목건축공사업(토건) 시공능력평가에 따르면, 총 741개 건설사가 6등급에 해당합니다. * 범위: 1170위 신일건설㈜ ~ 1910위 대륙건설㈜ * 총 개수: 741개사 * 구간: 토건 시평액 120억 원 이상 ~ 200억 원 미만 🏗️ 2025년 6등급(6군) 종.. 2025. 9. 8.
👑 삼성물산, 건설사 취업인기 95개월 연속 1위 : TOP 10은 어디? 👑 삼성물산, 건설사 취업인기 95개월 연속 1위🏗 7년 11개월 동안 건설취업 인기 정상 지킨 삼성물산【건설워커=2025.9.2】 삼성물산이 무려 95개월 연속 1위라는 대기록을 달성하며 건설사 취업 인기의 절대 강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이번 결과는 건설전문 구인구직 플랫폼 건설워커가 발표한 ‘2025년 9월 건설워커 랭킹(취업인기순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합건설 부문 톱10 (괄호안은 도급순위)삼성물산(시평액 1위)은 2017년 11월 이후 단 한 번도 정상을 내준 적이 없는 부동의 1위 건설사입니다.뒤를 이어 △현대건설(2위) △GS건설(5위) △DL이앤씨(4위) △현대엔지니어링(6위) △롯데건설(8위) △HDC현대산업개발(10위) △대우건설(3위) △포스코이앤씨(7위) △한화건.. 2025. 9. 3.
2025년 2군 건설사 명단|시공능력평가액 2등급 종합건설업체 총정리 📜 2025년 2군 건설사 명단|시공능력평가액 2등급 종합건설업체 총정리73위 동아지질부터 171위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까지📌 2등급(2군) 건설사 기준조달청의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등록 및 운용기준」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액(토건·토목·건축 기준) 1,400억 원 이상 ~ 4,200억 원 미만을 충족한 업체가 2등급 건설사로 분류됩니다. 국토교통부가 2025년 7월 3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73위 동아지질부터 171위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까지 총 99개 건설사가 이 범위에 해당합니다.🏗️ 2025년 2군 종합건설사 명단 (토건 시평액 기준)👉 아래 명단은 2025년도 토목건축공사업 시공능력평가액 총액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순위 업체 개요토건 시평액 (백만원)상호대표자소재지73(주)동.. 2025. 9. 2.
2025 시공능력평가|승강기·삭도공사업 도급순위 TOP 100 🏆 2025 시공능력평가|승강기·삭도공사업 도급순위 TOP 100 🔎 2025 전문건설업 시평 개요발표기관 : 국토교통부산정기관 : 대한전문건설협회전체 시평액 : 267조 8,000억 원전년 대비 : +5.46%공시 효력 : 2025.8.1 ~ 2026.7.31👉 시공능력평가는 매년 7월 말 공표되며, 공사실적 + 경영상태 + 기술능력 + 신인도를 종합 평가해 산정됩니다.입찰·시공사 선정·보증 심사 등 건설업계 신뢰지표로 활용됩니다.🏗️ 승강기·삭도공사업 TOP 52025년 승강기·삭도공사업 1위는 오티스엘리베이터(유) 가 차지했습니다.이어 ▲현대엘리베이터 ▲엘티삼보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삼호개발이 TOP 5에 올랐습니다. 2025 TOP 5 (대형 종합건설사 제외)1️⃣ 오티스엘리베이터(유.. 2025. 9. 1.
2025 철도·궤도공사업 도급순위 🏆 2025 철도·궤도공사업 도급순위🔝 2025년 전문건설업 시공능력평가|철도궤도공사업 도급순위 국토교통부와 대한전문건설협회가 발표한 2025년 전문건설업 시공능력평가 결과, 올해 전문건설업 전체 시평액은 267조 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253조 9,492억 원) 대비 5.46% 증가한 수치다. 시공능력평가는 매년 7월 말 공시되며, ▲공사실적 ▲재무 건전성 ▲기술능력 ▲신인도 등을 종합 평가한다.이번 평가는 2025년 8월 1일부터 2026년 7월 31일까지 효력을 가진다.🏗️ 철도·궤도공사업 TOP 52025년 철도·궤도공사업 1위는 삼표레일웨이가 차지했다.뒤이어 ▲상경토건 ▲삼동랜드 ▲한일철도 ▲한미철도 순으로 TOP 5에 올랐다.2025 철도·궤도공사업 TOP 5 (시평액.. 2025. 8. 27.
🏗️ 2025 상·하수도설비공사업 도급순위 TOP 100 🏗️ 2025 상·하수도설비공사업 도급순위 TOP 100전문건설 시공능력평가 한눈에 보기 👀 안녕하세요, 건설워커가 운영하는 티스토리 블로그 컨스라인입니다. 오늘은 전문건설업 부문 가운데 상·하수도설비공사업(약칭 상하수도공사업)의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도급순위) 결과를 정리했습니다.취업 준비생, 업계 종사자 모두 참고할 수 있도록 TOP 100 리스트와 함께 채용 정보 링크도 준비했어요.🔎 시공능력평가, 왜 중요한가?시공능력평가(시평액)는 국토교통부가 매년 발표하는 건설사 성적표 같은 개념입니다.공사 실적, 재무 상태, 기술 인력, 신인도 등을 종합해 평가한 결과로, 발주처·금융기관·협력사에서 신뢰 지표로 활용합니다. 📌 2025년 전문건설업 전체 시평액은 267조 8,000억 원➡️ 전년도(.. 2025. 8. 27.
2025 구조물해체·비계공사업 도급순위 TOP 100 🏆 2025 시공능력평가|구조물해체·비계공사업 도급순위 TOP 100🔎 전문건설업 ‘구조물해체·비계공사업’ 시평액 총정리📊 2025 전문건설업 시공능력평가 개요국토교통부 발표 · 대한전문건설협회 산정전체 전문건설업 시평액 : 267조 8,000억 원전년(253조 9,492억 원) 대비 +5.46% 증가👉 시공능력평가는 매년 7월 말 발표되며, 공사실적 + 재무건전성 + 기술력 + 신인도 등을 종합 평가.👉 이번 결과는 2025.8.1 ~ 2026.7.31까지 유효.👉 입찰 제한, 시공사 선정, 보증 심사, 신용 평가 등에서 활용.🏗️ 구조물해체·비계공사업 2025 TOP 5올해 1위는 성도건설산업.뒤이어 삼호개발, 세보엠이씨, 대아이앤씨, 하이테크알파가 상위권에 올랐습니다.순위기업명시평액(백.. 2025. 8. 26.
2025년 조경식재·시설물공사업 시공능력평가 도급순위 TOP 100 🌳 2025년 조경식재·시설물공사업 시공능력평가 도급순위 TOP 100— 전문건설업 시평액 분석과 채용 인사이트 안녕하세요, 건설 전문 채용플랫폼 건설워커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도 조경식재·시설물공사업 시공능력평가 결과를 정리했습니다. 매년 7월 말 국토교통부가 공시하는 ‘시공능력평가’는 발주자가 적합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공사실적·경영상태·기술능력·신인도를 종합 반영하는 제도인데요. 2025년 발표에 따르면, 전체 전문건설업 시평액은 267조 8천억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지난해보다 약 5.46% 증가한 수치입니다. 본 평가는 2025년 8월 1일~2026년 7월 31일까지 유효하며, 입찰·보증·신용심사 등에 활용됩니다.🏆 조경식재·시설물공사업 상위 5개사 (대기업 제외 기.. 2025. 8. 25.
2025 도장·습식·방수·석공사업 시공능력평가 TOP 100 🏆 2025 도장·습식·방수·석공사업 시공능력평가 TOP 100🔝 도급순위 & 시평액 총정리 안녕하세요, 건설워커 컨스라인 블로그 운영자 라인C 입니다. 😀 오늘은 전문건설업 분야 중에서 도장·습식·방수·석공사업 도급순위 TOP 100을 준비했습니다.🔎 2025 전문건설업 시공능력평가 한눈에 보기올해 국토교통부가 발표하고 대한전문건설협회가 산정한 2025 전문건설업 시공능력평가 결과, 전체 전문건설업 시평액은 267조 8,00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작년(253조 9,492억 원) 대비 5.46% 상승한 수치예요. 💡 시공능력평가란?매년 7월 말 공시되는 제도로,👉 회사의 공사 실적, 재무 상태, 기술 능력, 신인도 등을 종합 평가👉 발주처가 “믿고 맡길 만한 회사인가?” 판단할 때 중요한.. 2025. 8. 24.
📊 2025 ENR 세계 건설사 순위 | 한국 기업 성적표 총정리 🏗️ 현대건설, 사상 첫 TOP 10 진입!삼성물산·현대엔지니어링·삼성이앤에이·GS건설 등 12개 K-건설사 글로벌 시장 활약🌍 ENR 세계 250대 건설사 리스트란?미국 건설 전문 매체 ENR(Engineering News Record) 가 매년 발표하는 글로벌 건설사 성적표.순위는 크게 두 가지 부문으로 집계됩니다.International(인터내셔널): 국내 매출 제외, 해외 매출 기준 순위 → 글로벌 경쟁력 지표Global(글로벌): 국내외 매출 합산 기준 순위 → 종합 체급 확인 가능🔎 2025 인터내셔널(International) 부문 — 해외 매출 기준해외 시장에서의 실적만 반영된 순위. K-건설의 진짜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순위기업명해외 매출(억 달러)비고10위현대건설98.5국내.. 2025. 8. 22.
도화·유신·한종 2025 상반기 실적 리뷰 & 엔지니어링 취업 인사이트 도화·유신·한종 2025 상반기 실적 리뷰 & 엔지니어링 취업 인사이트📊 매출 성장 vs. 수익성 부진 2025년 상반기, 건설엔지니어링 상장 3사(도화엔지니어링·한국종합기술·유신)의 실적이 공개됐습니다.표면적으로는 매출이 늘었지만, 영업이익률은 여전히 3% 미만에 머물며 업계 전반의 구조적 한계가 다시 확인됐습니다.📝 3사 상반기 성적표도화엔지니어링매출 3,243억 원 (+17.7%)영업이익 82억 원 (+12.3%)영업이익률 2.5%👉 CM(건설사업관리) 부문이 +52.5% 성장하며 매출 견인한국종합기술(한종)매출 1,881억 원 (-1.9%)영업이익 6억 원영업이익률 0.3%👉 EPC(설계·조달·시공) 부문 위축 → 전체 매출 감소유신매출 1,768억 원 (+9%)영업이익 34억 원영업이익률.. 2025. 8. 20.
2025년 1군(등급) 종합건설사 리스트 📌 삼성물산부터 대원까지, 2025 토건 시공능력평가액 4,200억 원 이상 1등급 건설사 72곳조달청의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등록 및 운용기준」 (약칭: 등급별 유자격자명부제)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액(토건·토목·건축) 4,200억 원 이상을 충족한 업체를 1등급 건설사로 분류합니다. 국토교통부가 2025년 7월 31일 발표한 시공능력평가 결과에 따르면, 삼성물산(1위)부터 (주)대원(72위)까지 총 72개 종합건설사가 1등급 조건(시평액 4,200억 원 이상)을 충족했습니다.도급순위2025년 1등급 종합건설사 현황토건 시평액(단위 백만원)상호대표자소재지1삼성물산 주식회사오세철서울34,721,8682현대건설(주)이한우서울17,248,5023(주)대우건설김보현서울11,896,8504디엘이앤씨(주)박상신.. 2025. 8. 17.
1군·2군·3군 건설사 차이, 구분방법 🏗 1군·2군·3군 건설사 차이도급순위 아닌 조달청 등급 기준으로 구분한다건설업계에서 흔히 말하는 “1군 건설사”.네이버 검색창에 입력해 보면,👉 “도급순위 10위까지다”👉 “20위까지다”이런 글들이 상단에 노출됩니다. 하지만 이는 명백히 잘못된 정보입니다.실제 기준은 **조달청 ‘등급별 유자격자명부제’**입니다.📌 1군 건설사, 정확한 정의조달청은 매년 **시공능력평가액(시평액)**을 기준으로 종합건설업체를 7개 등급으로 나눕니다. 즉, “1군”이라는 표현은 업계 속어일 뿐이고, 정확한 제도적 명칭은 **“1등급 건설사”**입니다.📊 종합건설사 등급별 기준 (조달청, 2024년 기준)1등급(1군) : 4,200억 원 이상2등급(2군) : 1,400억 원 이상 ~ 4,200억 원 미만3등급(3군.. 2025. 8. 17.
2025 인천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 도급순위 📊 2025 인천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 도급순위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시공능력평가(시평액) 결과에 따르면, 인천 본사를 둔 건설사 중 3곳이 전국 TOP 100에 이름을 올렸습니다.디엘건설(전국 13위), 비에스한양(37위), 진흥기업(44위) 등이 대표적입니다.이는 인천 지역 건설사들의 경쟁력이 결코 뒤처지지 않음을 보여줍니다.1. 시공능력평가란?시공능력평가는 정부가 매년 건설사의 공사실적·재무상태·기술력·평판 등을 종합해 산출하는 ‘종합 성적표’입니다. 매년 7월 31일 기준으로 발표되며, 다음 해 8월 1일부터 1년간 적용됩니다.공공입찰, 민간 발주, 하도급 선정, 금융기관 보증심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산출식시평액 = 공사실적평가액 + 경영평가액 + 기술능력평가액 ± 신인도평.. 2025. 8. 15.
📊 2025 제주 종합건설사 도급순위 & 시평액 리포트 🏗 라온건설(전국 139위) 9년 연속 지역1위, 영도종합건설(394위), 세기건설(437위) 순 1. 제주 건설사, 2025 성적 공개 안녕하세요, 건설워커 공식블로그 캡틴C입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시공능력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제주에 본사를 둔 주요 종합건설사의 전국·지역 순위를 정리했습니다. 이번 자료는 단순한 순위 나열을 넘어, **제주 건설업계의 경쟁 지형과 시장 입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인사이트 리포트**입니다. 2. 시공능력평가제, 왜 중요한가? 시공능력평가제도는 발주자가 건설사의 종합 역량을 객관적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국가 제도입니다. 공사실적, 재무상태, 기술인력 보유 현황, 신인도 등을 종합 계산해 금액화한 **시공능력평가액**이 매년 7월 31일 .. 2025. 8. 15.
건설업 고용, 15개월째 감소…취업자 9만 2천 명 줄었다 【건설워커 잡톡=2025.08.13.】 📉 건설업 고용, 15개월째 감소…취업자 9만 2천 명 줄었다– 7월 고용동향, 건설구직자에 드리는 현실 조언2025년 7월, 전체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7만 1천 명 늘었지만 건설업은 예외였습니다. 건설업 취업자 수가 무려 9만 2천 명(-4.6%) 감소, 무려 15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일할 사람은 넘치는데, 현장과 회사는 더 줄어들고 있다” – 통계청 분석📊 건설업 고용 부진의 원인업황 부진: 주택 경기 침체, 공공 발주 감소프로젝트 지연: 금리·자재비 부담으로 착공 지연기성 하락: 현장 물량이 예전 같지 않음건설업 고용 감소는 단순한 계절적 변동이 아니라 구조적 위기로 해석하는 시각이 많습니다.🚨 건설구직자가 알아야 할 현실청년층 .. 2025. 8.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