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워커/데이터랩

10월 취업자 19.3만명↑… 건설·제조업 부진 장기화 최악 취업난 계속

by 건설워커 2025. 11. 12.
반응형

📦 국가데이터처, 10월 고용동향 발표
📆 청년 고용률 18개월 연속 하락… 30대 ‘쉬었음’ 역대 최대


【건설워커 잡톡=2025.11.12.】

10월 취업자 수가 19만3000명 늘며 고용률이 10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만 제조업·건설업의 고용 부진은 계속됐다.

12일 국가데이터처(구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취업자 수는 2904만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9만3000명(0.7%) 증가했다. 증가 폭은 9월(30만2000명)보다 줄었다.

9월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영향 등으로 서비스업 고용이 회복하며 취업자 증가폭이 30만명대를 기록했지만, 10월에는 둔화했다.

✅ 연령별 취업자수
60세 이상(33만4000명)과 30대(8만명)에서 취업자가 늘었으나, 나머지 연령대에서 모두 취업자가 줄었다. 특히 청년층(15~29세)은 352만1000명으로 전년 대비 16만3000명 감소했다.

✅ 산업별 취업자수: 제조·건설업 고용 부진 계속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28만명 늘며 고용 증가를 주도했다.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7만명), 도매·소매업(4만6000명)에서도 증가세가 이어졌다. 

반면 양질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건설업 등 부진이 지속됐다.

건설업은 12만3000명 줄며 18개월 연속 감소했다. 감소 폭은 지난달(8만4000명)보다 확대됐다. 10월 잦은 비 영향이라는 게 데이터처의 설명이다.

제조업도 5만1000명 줄며 16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감소 폭은 작년 10월(3만3000명) 이후로 가장 적었다.

농림어업도 12만4000명 줄며 감소세를 이어갔다. 고령화·산업구조 변화 등으로 인한 농림어가의 구조적인 감소세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건설워커 유종현 대표는 “건설업은 경기 불황의 여파로 취업 경쟁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다”며 “대기업 공채만 고집하기보다는, 눈높이를 조금 낮추더라도 우선 직무 경험을 확보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그는 “채용시장이 위축될수록 기업들은 이력서 검색이나 헤드헌팅을 통한 비공개 인재 채용에 적극 나서는 경우가 많다”며 “이력서를 단순히 등록하는 데 그치지 말고, 자신의 핵심 경력과 자격을 돋보이게 하는 키워드를 전략적으로 배치해 채용담당자와 헤드헌터에게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종사자 지위별 취업자수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28만6000명, 임시근로자는 7만9000명 늘었으나 일용근로자는 5만5000명 줄었다. 

비임금근로자 중에서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1만9000명 증가했지만,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11만7000명)와 무급가족종사자(-2만명)는 모두 감소했다.

✅ 취업 시간대 별 취업자수
36시간미만 취업자는 666만 2000명으로 7만6000명(1.2%) 증가했고, 36시간이상 취업자는 2,194만9000명으로 2만명(0.1%) 늘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8.5시간으로 전년보다 0.4시간 줄었다.


✅ 고용률
15세 이상 고용률은 63.4%를 기록했다. 10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OECD 비교 기준)은 70.1%로 0.3%포인트(p) 상승했다.

1981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10월 기준 최고치다.

청년 고용률은 44.6%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p) 떨어졌다. 청년 고용률은 18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공미숙 사회통계국장은 "경력직 위주 채용, 수시 채용이 청년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며 "청년층이 많이 가는 산업인 제조업이 안 좋은 부분도 영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 실업자수, 실업률
실업자는 20대와 50대를 중심으로 2만명 줄며 65만8천명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2.2%로 0.1%p 낮아졌다.  청년 실업률은 5.3%로 0.2%p 낮아졌다. 

✅ 비경제활동인구, 쉬었음, 구직단념자

비경제활동인구는 1612만1000명으로 전년보다 3만8000명 늘었다.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는 258만명으로 13만5000명 증가했다. 

특히 30대 ‘쉬었음’ 인구는 33만4000명으로 2만4000명 늘며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공미숙 국장은 "30대의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지만, 비경제활동 인구 중 육아·가사 부문이 줄고 '쉬었음'으로 분류되는 인원이 늘어나는 경향이 보인다"고 설명했다.

비경제활동인구란 만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으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거나 할 의사가 없이 쉬고 있다는 뜻이다. ​

전업주부, 연로자, 취업준비자, 진학 준비자, 구직 포기자 등이 대표적이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란 일할 능력이 있지만, 병원 치료·육아·가사 등 구체적인 이유 없이 막연히 쉬고 싶어서 일하지 않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구직단념자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을 희망하고 취업이 가능하였으나, 노동시장적 사유로 일자리를 구하지 않은 자 중 지난 1년 내 구직경험이 있었던 자를 의미한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자는 '재학·수강 등' 중 '취업을 위한 학원·기관 통학'과 '기타' 중 '학원·기관 통학 외 취업준비'의 합계다.

✅ [2025년 10월 고용동향 요약]

▣ 15~64세 고용률(OECD 비교기준)은 70.1%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 실업률은 2.2%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 실업자는 65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명(-2.9%) 감소

   ○ 청년층 실업률은 5.3%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 계절조정 실업률은 2.6%로 전월대비 0.1%p 상승

▣ 2025년 10월 취업자는 29,040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93천명(0.7%) 증가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ssec2510(통합).pdf:보도자료 본문 및 통계표, ssec2510.hwpx:보도자료 본문, ssec2510(통계표).xlsx:통계표)

ssec2510(통계표).pdf
0.61MB
ssec2510(통계표).xlsx
0.25MB
ssec2510.hwpx
1.68MB
ssec2510(통합).pdf
1.35MB


📚 관련 문서

📝 9월 취업자 31만2000명↑…19개월 만에 최대 증가
👉 https://blog.naver.com/autoarc/224047480153

📝 [통계의 함정] 백수 되기는 쉬워도 실업자 되긴 어렵다
👉 https://blog.naver.com/autoarc/221377454290

#국가데이터처 #통계청 #10월고용동향 #건설업취업자수 #취업자수 #건설채용 #건설고용동향

 

 

건설워커에 없다면 대한민국 건설회사가 아닙니다.

 

👉 네이버 검색창에 '건설워커'​​

건설워커 네이버 연관채널

📌 건설 전문가가 직접 운영하는 채용 플랫폼, 건설워커 — 채용은 기본, 업계 트렌드와 기업 분석까지 깊이 전합니다.

📛 Copyright ⓒ 건설워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컴테크컨설팅(건설워커) | 대표 유종현 | 서울 강북구 한천로140길 5-6 | 사업자 등록번호 : 210-81-25058 | TEL : 02-990-4697 | Mail : helper@worker.co.kr | 통신판매신고번호 : 강북-제 1911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