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워커/건설취뽀

중견 전문건설 정규직 vs 대형사 현채직, 잡소리에서 나온 현실 조언들

by 건설워커 2025. 5. 16.
반응형

 

🔎 중견 단종 정규직 vs 대형사 현채직, 잡소리에서 나온 현실 조언들

 

건설워커 잡소리 게시판에 올라온 한 구직자의 고민 글이 많은 공감을 얻고 있습니다.


중견 전문건설 회사의 정규직과 이름값 있는 빅5 대형 종합건설사의 현채직(현장채용직) 중 어디로 가야 할지 갈등하고 있다는 내용인데요,

 

연봉은 두 곳 다 비슷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이에 대해 건설업계 선배 구직자들의 다양한 의견이 댓글로 달렸습니다.

 

건설워커 잡소리 특유의 거침없고 현실적인 조언들 중 일부를 정리해봤습니다.


✅ 중견 전문건설 정규직 쪽 추천한 의견 요약

  • “정규직이면 일단 출발선이 다르다.”
    → 대기업 현채는 말 그대로 ‘소모품’이라 프로젝트 끝나면 바로 나가야 할 수도 있음.
  • “현채 경력은 이직할 때 애매하다.”
    → 원청이든 협력사든 ‘정규직 경력’을 선호하는 경향이 여전히 강함.
  • “전문건설이라도 중견에서 기술 쌓으면 경력길이 열려 있다.”
    → 종합이든 단종이든 건설 분야는 숙련도와 실무 능력이 중요해, 중견 단종이더라도 오래 버티면 커리어 안정됨.

✅ 대형사 현채도 고려할 만하다는 의견 요약

  • “대기업 간판이 주는 무게는 무시 못 한다.”
    → 빅5 종합건설이면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현엔, DL이앤씨, GS건설 등임. 이 정도 빅5급 대형사면 시스템 잘 잡혀 있어서 현채직이라도 일 배우기 좋고, 이력서 한 줄로 작용 가능.
  • “젊을 때 스펙 쌓는 전략으로는 현채도 나쁘지 않다.”
    → 대기업에서 몇 년 버틴 뒤, 프로젝트 전문직 채용이나 조금 아래 타사 이직 노리는 것도 하나의 전략.
  • “전문건설은 중견이라고 무조건 오래 다닐 수 있는 건 아님.”
    → 전문건설은 중견도 조직문화나 현장 여건이 안 맞으면 오래 버티기 힘든 곳 많음.

🔚 건설워커 전문가의 정리

잡소리 댓글들을 종합해보면, 결국 “무엇을 더 우선순위로 둘 것인가”의 문제입니다.
“커리어 안정성과 지속성”을 중시하면 중견 전문건설 정규직,
“대기업 이름값과 종합건설 커리어용 초기 스펙”을 중시하면 대형사 현채직.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현채직은 장기 커리어 측면에서 한계가 분명히 존재하므로, 선택 시에는 후속 경력 관리 전략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건설구직자 #진로고민 #대기업현채직 #중견전문건설 #진로선택 #건설워커 #잡소리게시판


📜 관련 문서
📝 지방대 건축공학과 취준생 취업조언… 전문건설 상위업체 정규직 vs 대형 종합건설 현채계약직 "건설워커 헬프미!"
👉 https://blog.naver.com/workerjob/222734000760

 

지방대 건축공학과 취준생 취업조언… 전문건설 상위업체 정규직 vs 대형 종합건설 현채계약직 "

Q. 지방사립대 졸업을 앞둔 건축공학과 취준생입니다. 자격증은 건축기사, 건설안전기사, 워드, 컴퓨터활...

blog.naver.com

네이버 검색창에 '건설워커'​​

건설워커 네이버 연관채널

본 정보는 건설워커에서 발췌, 정리, 가공한 자료이며 등록일 기준으로 유효합니다. 해당 정보의 최신성 및 정확성을 담보하지 않습니다​.

Copyright ⓒ 건설워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컴테크컨설팅(건설워커) | 대표 유종현 | 서울 강북구 한천로140길 5-6 | 사업자 등록번호 : 210-81-25058 | TEL : 02-990-4697 | Mail : helper@worker.co.kr | 통신판매신고번호 : 강북-제 1911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