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안 공기 108개월 vs 입찰조건 84개월…국토부 보완 요구에 현대건설 “수용 불가”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심각한 전환점을 맞았다. 핵심 공사를 맡을 예정이었던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결국 사업에서 물러나게 되면서 사업 지연이 불가피해졌다.
국토교통부는 8일 가덕도신공항 부지 조성공사와 관련해 현대건설과의 수의계약 절차를 중단하기 위한 공식 절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기본설계 보완 요구를 수용하지 않은 현대건설 측이 기존 공사기간보다 2년이나 더 긴 108개월의 설계안을 고수했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현대건설이 국가계약법상 필수 절차인 기본설계 보완을 거부함에 따라 수의계약을 더 이상 추진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후속 사업자 선정을 위한 대안 마련에 착수했다.
현대건설 측은 연약지반 안정화에만 17개월, 공정 순서 조정 등에 7개월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총 24개월의 추가 공사 기간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이었다. 하지만 이는 당초 입찰 조건인 84개월 공기와는 큰 차이를 보이는 내용이었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지난해 10월 총 10조5000억원 규모의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사업 수의계약 대상자로 선정된 바 있다.
이 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설계·시공 일괄입찰(턴키) 방식으로, 667만㎡의 부지에 활주로(길이 3,500m) 1본, 유도로 12개, 계류장(72대), 방파제, 항행안전시설 등을 포함한다. 컨소시엄에는 현대건설(25.5%), 대우건설(18%), 포스코이엔씨(13.5%) 등이 참여하고 있다.
문제는 대체 사업자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과거 네 차례 입찰에서 현대건설 외에는 참여 의사를 밝힌 업체가 없어, 결국 네 번째 시도 끝에 수의계약 방식으로 전환했던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후속 사업자 선정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한다.
국토부는 후속 절차를 위해 가덕도건설공단 및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합동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한 대응책 마련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일정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겠지만, 2029년 말까지 예정된 핵심시설 완공 목표 역시 재조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엔지니어링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대건설도 사실상 정부의 요청으로 참여한 것으로 안다”며 “이 같은 상황에서 다른 대형 건설사들이 쉽게 나서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가덕도신공항의 개항 시점은 사실상 재검토가 불가피하며, 사업 전체가 장기 표류에 빠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가덕도신공항 #현대건설 #국토부 #수의계약중단 #건설취업 #건설업계뉴스 #턴키공사 #인프라사업 #건설워커 #건설구직자정보
네이버 검색창에 '건설워커'
본 정보는 건설워커에서 발췌, 정리, 가공한 자료이며 등록일 기준으로 유효합니다. 해당 정보의 최신성 및 정확성을 담보하지 않습니다.
Copyright ⓒ 건설워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건설워커 > 건설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에코플랜트 X SK머티리얼즈] 건설회사가 반도체 소재 기업을 품는다? (1) | 2025.05.08 |
---|---|
대한건설협회 신임 회원부회장 상견례 개최 (4) | 2025.05.08 |
동부건설, 서울 고척동 모아타운 정비사업 수주…총 2100억 원 규모 대형 프로젝트 확보 (2) | 2025.04.30 |
현대건설, 미래 주거 모델 '하우스 오브 디에이치'로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위너’ 선정 (4) | 2025.04.21 |
충북 2위 대흥건설, 법정관리 돌입…건설업계 회생신청 줄줄이 (3) | 2025.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