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워커/건설톡톡

[2025년 4월 고용동향] 건설업 고용 12개월째 감소… 청년 구직자 한파 '심화'

by 건설워커 2025. 5. 15.
반응형


🧱 [2025년 4월 고용동향] 건설업 고용 12개월째 감소… 청년 구직자 한파 '심화'

2025년 4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19만4천 명 증가하며 넉 달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실상은 마냥 낙관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건설업·제조업 분야와 청년층 고용이 동반 부진한 양상을 보여, 취업 시장 내 구조적 한계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 건설업, 1년 넘게 ‘일자리 내리막길’…회복세는 아직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건설업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5만 명 감소했습니다. 이는 2024년 5월부터 12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진 것으로, 국내 건설산업 전반이 장기 불황에 빠져 있다는 사실을 방증합니다.

 

📌 전월(-18만5000명) 대비 감소 폭은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회복 흐름을 말하기엔 시기상조입니다.
📌 주된 원인은 ▲경기침체 ▲공공·민간 부문 수주 감소 ▲주택공급 둔화로 인한 일자리 위축 등입니다.

유종현 건설워커 대표는 “지속적인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해 업계 전반이 과거에 없던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이 같은 불확실성 속에서는 당분간 기업들의 신규 채용 확대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 건설 취업 준비생에게 주는 실질적 조언

취업 시장의 구조 변화 속에서 구직 전략 역시 달라져야 합니다.

  • 공채보다 수시채용 중심으로 흐름 변화
  • 비공개 채용 및 헤드헌팅 비중 증가
  • 온라인 이력서 등록을 통한 노출 전략 필요

유종현 대표는 “명확한 커리어 비전을 세우고 단계적으로 준비해 나가는 전략적 접근이 중요하다”며 “건설워커에 이력서를 미리 등록해 두면 비공개 채용 기회까지 확보할 수 있어 구직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 청년 고용, 숫자보다 더 추운 현실…‘쉬었음’ 12개월째 증가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전년보다 0.9%p 하락한 45.3%**로, 202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특히 일도, 구직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가 41만5000명으로 집계돼, 12개월 연속 증가하는 불안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쉬었음 인구란?
병원 치료, 가사, 육아 등의 특별한 사유 없이 그냥 쉬고 싶어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인구를 의미합니다.

🔎 청년층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는?

한국경제인협회 조사에 따르면, 미취업 청년 중 **76.4%가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고 응답했습니다.
가장 중요한 조건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급여 수준 (31.8%)
  • 고용 안정성 (17.9%)
  • 워라밸 (17.4%)

이는 단순한 고용률 수치 이상의 질적 고용 문제를 보여줍니다.


🏭 제조업·농림어업 고용도 동반 악화

제조업 역시 심각한 수준입니다. 4월 한 달 동안 12만4000명 감소, 이는 2019년 2월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입니다. 수출이 증가해도 전자부품·컴퓨터·반도체 등 고용 유발계수가 낮은 산업이 중심이기 때문입니다.

 

농림어업도 13만4000명 감소하며 9년 5개월 만의 최대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이상기온과 산불 등 외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기타 고용 통계 요약

지표, 수치 및 변화

전체 취업자 수 2,888만7천 명 (+19만4천 명)
고용률 63.2% (+0.2%p), 청년층 45.3% (-0.9%p)
실업률 2.9% (-0.1%p), 청년층 7.3% (+0.5%p)
일용근로자 5만4천 명 감소
상용근로자 27만9천 명 증가
주 36시간 이상 근로자 전년 수준 유지
주당 평균 근로시간 38.7시간 (+0.4시간), 건설업은 39.4시간 (-0.3시간)

📝 마무리: 건설 취업자에게 필요한 것은?

현재의 고용 흐름은 단순한 경기 문제를 넘어 산업 구조 전환기에 진입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건설업 취업자라면 다음을 실천할 필요가 있습니다.

  • 장기적 커리어 계획 수립
  • 수시채용 중심의 지원 전략
  • 온라인 플랫폼(건설워커 등)을 활용한 이력서 노출 강화
  • 자격증 및 실무경험 중심의 스펙 강화

지금은 조급하게 여러 기업에 무작정 지원하기보다는, 시장 변화에 맞춘 전략적 준비와 타이밍 조절이 더욱 중요한 시기입니다.



🏷️ #4월고용동향 #건설업고용 #청년취업한파 #건설워커 #건설취업 #수시채용전략 #비공개채용 #이력서등록 #건설기술인 #건설회사취업 #취업정보 #청년고용위기 #통계청 #고용현황2025



​​📢 관련 문서: 바깥 고리

📝 국내 건설경기 최악… 눈을 돌려야 보이는 기회, ‘해외건설’
👉 https://blog.naver.com/workerblog/223832239663

📝 3월 고용동향으로 본 건설구직자 생존 취업전략!
👉 https://blog.naver.com/workerblog/223830461614

📝 4월 취업자 19만4천명↑…건설업·제조업·청년 고용 한파 최악
👉 https://blog.naver.com/autoarc/223866097013

​📝 ​[통계의 함정] 백수 되기는 쉬워도 실업자 되긴 어렵다
👉 https://blog.naver.com/autoarc/221377454290

 

건설워커 네이버 연관채널

본 정보는 건설워커에서 발췌, 정리, 가공한 자료이며 등록일 기준으로 유효합니다. 해당 정보의 최신성 및 정확성을 담보하지 않습니다​.

Copyright ⓒ 건설워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컴테크컨설팅(건설워커) | 대표 유종현 | 서울 강북구 한천로140길 5-6 | 사업자 등록번호 : 210-81-25058 | TEL : 02-990-4697 | Mail : helper@worker.co.kr | 통신판매신고번호 : 강북-제 1911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댓글